[스크랩] 한국 핵개발의 비사 (우국충정) 우국충정(憂國忠情) 그 감동을 나누려 합니다. 역시 박대통령은 훌륭한 분이셨고, 오늘의 한국이 존재하게하시고, 그 큰 업적이 오늘에 꽃을 피우는 듯 합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꼭 읽어 보십시요. 核물리학자 이휘소 박사와 朴正熙 이휘소 박사의 한국 核개발 참여 과정 세계적인 핵물리학자 이휘소.. 삶과여유/역사자료 2011.08.25
한국의 성씨 일람표 안녕하세요 한국의 성씨별 본관,시조,인물등을 정리한 자료를 보내드리니 참고하세요 좋은 시간 보내십시요 성씨를 클릭하면 각 성씨의 본관과 유래, 인구수를 볼 수 있습니다. | 가 | 나 | 다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타, 파 | 하 | 가 가(賈) 간(簡) 갈(葛) 감(甘) 강(姜) 강(康) 강(彊) 강(強) 강(剛) 개(.. 삶과여유/역사자료 2011.05.07
신라왕 계보(BC 57 ~ 서기936) 신라왕의 계보(BC 57년 ∼ 서기936년) 1대 박혁거세왕(박씨) - 2대 남해왕(박씨) - 3대 유리왕(박씨) - 4대 탈해왕(석씨, 23년 재위) - 5대 파사왕(박씨) - 6대 지마왕(박씨) - 7대 일성왕(박씨) - 8대 아달라왕(박씨) - 9대 벌휴왕(석씨) - 10대 나해왕(석씨) - 11대 조분왕(석씨) - 12대 첨해왕(석씨) - 13대 미추왕(최초.. 삶과여유/역사자료 2011.05.07
고려왕조(918~1392)계보 고려왕조 계보 제1대 태조 (太祖 877∼943(헌강왕 3∼태조 26)) 고려 제1대 왕(918∼943). 성은 왕(王), 이름은 건(建), 자는 약천(若天). 송악(松嶽) 출생. 아버지는 금성태수(金城太守) 융(隆)이며 어머니는 한씨(韓氏)이다. 895년(신라 진성여왕 9) 아버지를 따라 궁예(弓裔)의 부하가 된 뒤 900년(효공왕 4) 광주(.. 삶과여유/역사자료 2011.05.07
조선왕조 계보 조선 시대(朝鮮, 1392~1910, 518년간, 총 27대) 代 왕명 재위기간 약사 1 태조(太祖, 1335~1408) 1392~1398 휘는 성계(成桂). 고려말 무신으로 왜구를 물리쳐 공을 세우고,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고려를 멸망시키고 92년 조선왕조를 세움. 2 정종(定宗, 1357~1419) 1398~1400 휘는 방과(芳果). 사병을 삼군부에 편입시킴. 즉.. 삶과여유/역사자료 2011.05.07
조선의 왕과 왕비 조선왕조계보(조선의 왕과 왕비) 1대 태조 이성계(환조 자춘, 의혜왕후) 원비 신의왕후 한씨 : 6남 2녀 =>진안대군 이방우, 영안대군 이방과 (2대정종), 익안대군 이방의, 회안대군 이방간 =>정안대군 이방원 (3대태종), 덕안대군, 경신공주, 경선공주 신덕왕후 강씨 :2남 1녀 => 무안대군 이방번, 의안.. 삶과여유/역사자료 2011.05.07
[스크랩] 능원묘(경기) 일람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능원묘(경기) 일람표 지역 종목 분류 답사 문화재명 소재지 관리자 연천군 사적 244호 능 完 신라경순왕릉(新羅敬順王陵) 백학면 고랑포리 산18-2 연천군 경기도 기념물 51호 묘 完 정발장군묘(鄭撥將軍墓.. 삶과여유/역사자료 2010.12.28
[스크랩] 두 명의 황제를 배출한 `남연군묘` 여행을 하다보면 오랫동안 잊혀지지 않는 곳이 있다. '남연군묘'가 그러하다. 수년 전 다녀온 이후 뇌리속을 쉬이 떠나지 않았다. 풍수지리를 잘 모르는 나로서도 명당의 지세를 감지할 수 있었던 곳이었다. 묘의 앉은 자리가 아늑한 데다 탁 트인 전망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다시 찾은 남연군묘.. 삶과여유/역사자료 2010.12.28
명성황후 찌른 "칼" 명성황후 찌른 "칼" 현재 일본 신사에 보관되어 있다 * 시해 당시, 명성황후를 절명시킨 칼로 추정 * 신사 관계자 “ 이번 공개는 극히 이례적인 일 1895년 양(陽) 10월 8일. 새벽 5시경 경복궁 광화문에서 한발의 총성이 울렸다. 작전명 ‘여우사냥’ 조선공사 미우라와 일본인 자객들에 의해 자행된 명성.. 삶과여유/역사자료 2010.12.10
불암산에 숨어있는 마애불상 불암산에 숨어있는 마애불상 불암산에는 학도암(鶴到庵)이라는 절이 있습니다. 학도암은 조그만 암자로 우리가 생각하는 절처럼 아름다운 절은 아닙니다. 그러나 불암산 학도암은 조선 인조 2년인 1624년 무공화상이 창건하였고 이후 고종 15년인 1878년 벽운화상이 중창하였으며, 고종 22년인 1885년 벽운.. 삶과여유/역사자료 2010.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