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수산물시장 해마다 이맘때 김장철이 되면 한번씩 찾게되는 수산시장 그외 다른 날에도 가끔 찾고는 하지만 새벽부터 찾을일은 별로없다. 여섯시가 조금 넘은시간, 나에게는 때 이른 새벽이다. 하지만 수산물시장의 이 시간은 활력이 넘치는 시간이다. 상점마다 경매에서 낙찰받은 생선과 어패류, 각종수산물들이.. 나의흔적/차한잔의여유를느끼며.... 2009.11.15
기억(記憶)의 의미(意味) 기억(記憶)의 의미(意味) 세상을 살아가며 우리는 큰 좌절을 겪기도 하고 생각지 못했던 기쁨도 맛보며 하나하나 희로애락(喜怒哀樂)의 경험을 쌓아간다. 영원한 기쁨도 영원한 슬픔도 특정인에게 고정되지 않기에 슬픈 때는 좋은날을 희망하고, 기쁜 날에도 언젠가 닥칠지 모르는 곤경에 대비하며 마.. 나의흔적/조용한밤에.... 2009.11.13
문화를 생각하며.... 문화(文化)를 생각하며..... 문화관련 단체에 실무책임자로 근무하는 나는 종종 문화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생각해볼 때가 있다. 문화의 사전적인의미도 의미이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문화와 우리 삶의 연관성에 대해서 나름대로 심각한 고민에 빠져 어느 순간 끓어오르는 의협심에 주먹을 불끈 쥐며 사.. 나의흔적/조용한밤에.... 2009.11.13
왕의무덤 - 그 속에 숨겨진 이야기 최상의 법문은 죽음이다. 왕은 권력의 정점이다. 권력의 정점에 앉았던 이들의 죽음은 최상의 법문일까. 죽음 앞엔 누구나 숙연해진다. 하찮은 미물의 죽음 앞에서도 경건해진다. 500년 조선 왕조의 영욕을 온몸으로 받다가 이승을 하직한 왕들의 무덤을 찾아간다. 거기에 그들이 있다. 왕은 죽지 않는.. 삶과여유/조선왕릉기행 2009.11.10
모니카 마틴 모니카 마틴 Monika Martin은 1962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활동하고 있는 가수로서, 독일에서는 서정적인국민가수라는 칭호를 받을 정도로 유명하지만, 그녀가 부르는 노래들이 독일어로 되어 있어서인지, 우리나라엔 아직은 많이 알려져 있지않은 가수입니다. 하지만, 목소리가 맑고 청순하.. 삶과여유/음악이있어아름다워.... 2009.11.10
감미로움의 극치 - 모미카 마틴(30선) Monika Martin (모니카 마틴) 노래모음 30곡 Es War Doch Alles Nur das lied vom verlorenen traum das madchen in mir Die Liebe ist ein Lied Die Sterne Sind Noch Da Doch du mein Engel hast geschlafen Du tust mir gut Du warst da(Don't forget to remem) Ein Kleines Gluck Ein Traum El Paradiso Erste Liebe meines Lebens Fremder Mann Hast du heute schon gelachelt Haus der sehnsucht Hit medley S5.. 삶과여유/음악이있어아름다워.... 2009.11.10
팝송모음 가을에 어울리는 팝송모음 1 Feelings / Morris Albert 2 Dust In The Wind / Kansas 3 Sealed With A Kiss / Boddy Vinton 4 Evergreen / Susan Jacks 5 Yesterday / Beatles 6 Right Here Waiting / Richard Marx 7 You Mean Everything To Me / Neil Sedaka 8 Don't Forget To Remember / Bee Gees 9 Unchained Melody / Righteous Brothers 10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 Elton John 11 I'll Be Ther.. 삶과여유/음악이있어아름다워.... 2009.11.10
숨어있는 봉분 조선 왕릉은 산등선 끝자락의 완만한 언덕에 있다. 죽은 자의 성스러운 영역인 봉분은 제향 공간 정자각에서 왕릉 입구인 홍살문에 이르는 산 자의 영역보다 높은 곳에 있다. 홍살문에 들어선 참배자가 봉분을 올려다보며 자연스럽게 존경과 위엄을 느끼도록 조성된 것. 그런데 이상하다. 11대 왕 중종.. 카테고리 없음 2009.11.09
조선왕릉은 그린벨트의 원조 조선 왕릉은 ‘자연과 어우러진 인공 정원’이라는 별칭에 걸맞게 숲도 울창하다. 이 숲은 자생적으로 생겨난 것처럼 보이지만 꼭 그런 건 아니다. 1790년(정조 14년) 융릉(경기 화성시) 일대에 심은 소나무가 45만3300여 그루에 달했다. 태종은 아버지 태조의 능인 건원릉(경기 구리시) 주변의 잡풀을 베.. 삶과여유/조선왕릉기행 2009.11.09